본문 바로가기
정보공유

사회초년생을 위한 첫 월급 사용 계획표

by 시원하노 2025. 7. 3.

🌱 첫 월급, 단순한 돈 그 이상입니다

첫 회사, 첫 업무, 그리고 첫 월급.
출근 첫날의 설렘만큼이나, 통장에 찍힌 첫 급여는 평생 기억에 남습니다.

하지만 처음 받아보는 월급이기에,
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하거나
감정적으로 흘려보내기 쉬운 것도 사실입니다.

  • ✔️ 부모님께 감사의 표현을 하고 싶고
  • ✔️ 오랜만에 나 자신에게 선물도 주고 싶고
  • ✔️ 통장은 왜 벌써 잔고가 바닥이지?

첫 월급 사용은 ‘금액보다 계획’이 중요합니다.
지금 이 시점에서 건강한 소비 습관과 자산 관리 루틴을 세워두면
앞으로의 재무 인생이 훨씬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.

✅ STEP 1. 월급을 3가지 바구니로 나눠라

가장 기본적이고 실용적인 원칙은,
월급을 ‘소비 / 저축 / 투자’로 나누는 겁니다.

💡 추천 비율 예시

항목 설명 권장 비율
소비 월세, 식비, 교통비 등 고정 및 유동 지출 50%
저축 비상금, 단기 목표 자금 30%
투자 자기계발, 소액투자, 재테크 초입 20%

💡 세후 월급이 220만 원인 경우
→ 소비 110만 원 / 저축 66만 원 / 투자 44만 원

중요한 건 이걸 머릿속에만 두는 게 아니라,
월급일에 맞춰 자동이체를 걸어두는 것입니다.
이렇게만 해도 “돈이 어디로 샜는지 모르겠다”는 상황을 대부분 피할 수 있어요.

✅ STEP 2. 고정 지출부터 명확히 파악하자

첫 직장인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가
“생각보다 월급이 적은 것 같다”는 느낌입니다.

이건 단순히 금액의 문제가 아니라,
‘고정비 구조’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일 확률이 높습니다.

✍️ 예시로 점검해 볼 항목

  • 월세 + 관리비: 45만 원
  • 통신비: 10만 원 (요즘 5G 요금제 고정)
  • 교통비: 6만 원 (정기권 기준)
  • 식비: 약 30만 원 (1일 1식 외식 기준)
  • 구독료: 2~3만 원 (넷플릭스, 유튜브프리미엄 등)
  • 기타 지출(보험, 간식, 약국 등): 10만 원

총합 약 100만 원 이상.
여기에 쇼핑이나 급작스러운 외식까지 더하면
금세 월급은 바닥을 드러냅니다.

📌 실전 팁:
뱅크샐러드, 토스, 카카오뱅크 등 자동 지출 분류 기능이 있는 앱을 통해
‘지출 구조’를 한눈에 시각화해 보세요.
지출을 '보는 것'만으로도 절제 효과가 생깁니다.

✅ STEP 3. “의미 있는 소비”도 전략적으로

첫 월급인데 너무 아끼기만 하는 것도 스트레스입니다.
감정적인 보상이 필요한 순간도 분명히 있죠.

다만, 포인트는 “무계획한 소비가 아닌, 계획된 보상 소비”여야 한다는 것입니다.

🎁 추천 소비 항목 TOP 4

  1. 부모님께 감사의 마음 전달하기
    → 큰돈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.
    → 현금 용돈, 식사 대접, 또는 편지와 함께 작은 선물도 좋아요.
  2. 출퇴근 필수템 구비
    → 정장, 구두, 출퇴근용 가방 등 실용적인 품목 위주
  3. 자기계발용 지출
    → 자격증 강의, 도서, 강연 티켓, 노트북, 교육 구독 등
    → 장기적으로 본인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해요.
  4. 작은 사치 허용하기
    → 평소 좋아하던 레스토랑, 영화, 디저트 등
    → '기분전환'은 지출이 아닌 ‘심리적 리턴’으로 보세요.

🙌 한도 내 소비는 스트레스 해소 효과도 크고, 이후 불필요한 낭비도 줄여줍니다.

✅ STEP 4. 비상금 통장, 지금부터 만들자

“통장에 돈이 없으면 카드 돌리지 뭐…”
이런 생각은 빚의 출발점입니다.

비상금은 자유를 보장하는 첫걸음이에요.

💰 실천 방법

  • 비상금 전용 계좌 개설 (예: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, CMA 등)
  • 월급일 기준 자동이체 설정 (월 10~20만 원씩)
  • 단기 목표: 최소 100만 원
  • 중기 목표: 3개월치 생활비(300~400만 원)

비상금은 절대 체크카드와 연결된 주 통장에 두지 마세요.
‘꺼내쓰기 힘든 통장’에 넣어야 진짜 비상금 역할을 합니다.

✅ STEP 5. 자산 점검 루틴을 만들자

돈은 ‘쓰는 것’보다 ‘기록하고 정리하는 것’이 더 중요합니다.

🧾 월 1회 자산 점검 루틴 예시

  • 월급일 기준으로 루틴 고정
  • 소비 총액 vs 예산 비교
  • 각 통장(소비/저축/투자) 잔고 확인
  • 투자 수익률 또는 적금 납입 현황 체크
  • 다음 달 예산 및 소비 목표 설정

📊 Google Sheets, Notion, Excel, 뱅크샐러드 등 편한 도구로 관리하세요.
‘내 돈의 흐름’을 이해하는 사람은 어떤 위기에도 휘둘리지 않습니다.

✨ 마무리: 월급은 ‘관리의 시작’입니다

첫 월급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
앞으로의 자산관리 습관을 만드는 첫 벽돌입니다.

  • ✔ 무계획한 소비는 후회를 부르고
  • ✔ 의미 있는 소비는 삶의 만족을 높이고
  • ✔ 작은 저축과 기록은 내일을 단단하게 만들어줍니다.

💡 지금의 당신은,
5년 후 경제적 여유를 가진 나를 위한 투자자입니다.


📌 다음 글 예고

👉 [2편] 사회초년생의 똑똑한 저축법 – 적금보다 중요한 것들
(월급에서 시작하는 비상금, 자유적금, 자동이체 루틴까지!)